TOP
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
추진방향
기존과 신규 사업 내 지속가능한 연구기반 조성
- 2019 사업을 통해 마련된 지역 내 연구 협력체제 및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기반 강화
- 지역 특성에 맞는 유무형의 문화자원과 시설 인프라를 연계한 연구 협력체제 및 전문가 네트워크 신규 발굴로 지속가능한 연구기반의 생태계 구축
개발에서 확산까지 지역 내 창의예술교육 선순환 구조 마련
- 콘텐츠 개발 및 보급, 확산의 지역 내 창의예술교육 선순환 구조 마련
- 생애주기별 창의예술교육을 위한 예술교육가의 역량 강화 체제 도모
- 지역 중심의 유기적 추진체계로 지역 문화예술교육 질적 성장기여 및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기회 제공
사업내용
신규 개발형(AI+예술랩 운영) / 신규 콘텐츠 발굴
-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과학기술 관련 신규 콘텐츠 강화
-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체득 ⇨ 초등학생 대상“AI + 예술랩”운영
- ‘웨어러블’디바이스의 AI 과학기술 + 부산 무형문화재(농악)로 예술 접목
확장 지원형 / 기존 콘텐츠 확장
- 2019년 개발된 콘텐츠 중 국립부산과학관의 물적‧인적자원 협력으로 확장 프로그램 진행
- 2019년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위한 클린업 및 심화 단계 추진
아이디어 발굴형 / 제2회 해커톤 개최
- 제2회 해커톤 대회 개최(상반기)로 재단 창의예술교육랩 사업 중 하나의 브랜드화 구축및 새로운 아이디어 집중 발굴·지원
- 지역 내 청년 예술·과학기술 교육가 발굴 및 기회 제공
- 지역 문화예술교육계에 새로운 돌파구 마련
- 해커톤 수상팀 대상 후속개발 지원(하반기)으로 아이디어를 프로그램 실용화로 발전
- 일회성 행사가 아닌 연속 운영을 통한 창의예술교육 의미 제고 및 차년도를 위한 논의의 장 형성